나의 이야기

미래산업 6인방

설헌서택 2013. 3. 11. 10:46

 

 


미래의 유망산업 ICT

         

    

ICT는 IT(정보기술)에 C(통신)이 결합된 정보통신기술

인류의 미래를 주도할 첨단 산업기술 6인방

정보기술 IT(정보통신기술 ICT)
생명공학기술 BT
나노기술 NT
환경공학기술 ET
우주항공기술 ST
문화콘텐츠기술 CT



유망 신기술 6T

IT BT ET       
NT ST CT       

·정보기술(IT)

정보기술(情報技術, IT, Information Technology)
또는 정보통신기술(情報通信技術,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전기 통신, 방송, 컴퓨팅(정보처리,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통신망 등 사회 기반을 형성하는 유형 무형의 기술 분야이다.
넓은 의미의 정보통신 기술이란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등 정보 유통의 모든 과정에 사용되는 기술 수단을 총체적으로 표현하는 개념이다.




·생명공학기술(BT)

생명공학기술 (生命工學技術, Biotechnology, BT)은
바이오 산업을 기업화하려는 새로운 산업 분야를 말한다. 유전자 치환이나 세포융합을 이용한 대량 배양한 효소를 사용하여 물질을 합성하는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등 생체기능 자체를 응용한 기술에 의하여 자연에는 극히 미량밖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을 대량으로 생산하려는 것으로 이미 당뇨병의 특효약 인슐린, 제암제 인터페론 등이 상업화되었다. 의약품뿐만 아니라 화학식품·화학섬유 등의 업종에서도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중이다. 앞으로는 품질개량, 식량생산(GMO 식품) 등 농업관계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에서는 이 분야의 벤처 비즈니스가 성행하고 있다. 또한 생명공학기술은 생물체가 가지는 유전·번식·성장·자기제어 및 물질대사 등의 기능과 정보를 이용해 인류에게 필요한 물질과 서비스를 가공·생산하는 기술을 말한다. 우리나라 정부는 2000년 10월 ‘바이오산업 발전 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생물산업 발전의 기본틀을 마련했고, 기술 개발과 산업화를 양대 축으로 과학기술부·산업자원부·보건복지가족부 등 관계 부처가 추진해 왔다. 2001년 8월에는 IT·NT 등과 함께 5대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지정해 2010년까지 G7 수준으로 집중 육성키로 한 바 있다.



·나노기술(NT)

나노기술(NT, Nano Technology)은 원자나 분자 정도의 작은 크기 단위에서 물질을 합성하고, 조립, 제어하며 혹은 그 성질을 측정, 규명하는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크기가 1 내지 100나노미터 범위인 재료나 대상에 대한 기술이 나노기술로 분류한다.



·환경공학기술(ET 環境工學, Environmental engineering Technology)

과학의 응용 또는 자연환경(공기, 물, 토양 자원)을 개선하고, 위생적인 물을 공급하며, 인간이 거주 또는 다른 사회 조직을 위한 토양과 대기, 오염 장소의 개선을 위한 가능성의 조사를 위한 공학 기술이다.. 이것은 공공 교육, 관리,법규, 효과적인 기술 실행(과정과 설비의 설계)을 통하여 관리되며 인간의 생각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우주항공기술(ST Space Technology )

항공기와 우주비행체의 개발·설계·제작·시험·조작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공학의 한 분야.

·문화콘텐츠기술(CT, Culture Technology)
혹은 문화기술, 문화산업기술

문화 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로 문화콘텐츠 기획과 상품화, 미디어 탑재, 전달의 가치사슬 과정 등 문화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소용되는 모든 형태의 유무형의 기술이다.
CT라는 용어는 1995년에 카이스트의
원광연 교수가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며,[출처 필요] 이후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1년 8월에, 대한민국의 '국가 6대 핵심기술'(6T) 중 하나로 포함되었다

 




☏ ICT의 SO문제

`참고 : 청와대와 야당간의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ICT의 SO(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자료입니다.
( 지상파는 방통위에 두고 SO를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하여 일자리 창출을 하겠다는 청와대에 야당은 SO가 정부장악하에 두면 SO편성권(채널변경)이 위축당할 수 있으니 불가하다는 견해)

방송사업자 구성 형태

위성, 케이블, IPTV 송수신개요
통상적으로 PP사와 각 플랫폼 사업자 사이에는 송출대행전문회사의 업무영역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Ⅰ. 방송채널사용사업자 (PP : Program Provider) : 고유의 방송채널을 소유하고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는 사업자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 (MPP : Multiple Program Provider) : 2개 이상의 채널을 소유한 방송채널사업자

Ⅱ. 종합유선방송사업자 (SO : System Operator) : 전국 각 지역의 제한된 구역을 방송 사업권으로 하는 방송사업자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 (MSO : Multiple System Operator) 2개 이상의 종합유선방송사업체를 소유한 사업자

Ⅲ. 중계유선방송사업자 (RO : Relay Operator) : 일정지역에 제한된 영역에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받은 방송을 수신 중계하는 방송사업자, 영세한 유선 방송 사업자

Ⅳ. 전송망사업자 (NO : Network Operator) : 전송망 사업자

출처 < 위키백과 외 기타>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쩍새 우는 밤에 떠오르는 詩  (0) 2013.05.11
배꽃 피어난 야삼경에 달빛은 휘영청  (0) 2013.03.15
功遂身退  (0) 2012.11.12
訓民正音  (0) 2012.10.09
봄마중  (0) 2012.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