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아몰레드

설헌서택 2011. 12. 29. 10:26


아몰레드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 발전과정 *

[LCD →LED →OLED]
OLED에서 아모레드(AM OLED)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진화과정중
*


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통상적으로 아몰레드라고도 합니다만 이 이름은 원래 삼성전자에서 만든 AM OLED 채용 휴대전화의 상표명이랍니다, 다른 기업 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하나 LG OLED나 다른 기업도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기장 발광의 원리를 이용해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랍니다.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꿈의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으며 개발되었다느군요.

OLED는
PM OLED(Pass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수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분류됩답니다.

PM OLED는 하나의 라인이 동시에 발광하여 구동하는 방식인 데 비하여, AM OLED는 발광소자가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이랍니다.

OLED 픽셀은 직접 빛을 내기 때문에 빛의 표현 범위가 LCD보다 크며 백라이트(backlight)도 필요 없으므로 검정 수준이 뛰어나고 두께와 무게를 TFT LCD의 1/3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LCD와 달리 고온과 저온에서 색 재현성이 동일하고,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접거나 휠 수가 있는 제품(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이랍니다.
다만 옥에 티라한다면 LCD보다 제작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상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현재실정이랍니다.

참고1
[백라이트란?]:BLU(Back Light Unit)-백라잍유닡-노트북이나 LCD모니터에는 자체 발광체가 없기 떼문에 볼 수 있도록 불을 밝혀 주는 렘프가 있는데 이것을 BLU라고 하며 LED 광원을 사용한다고 함

최근 동영상 콘텐츠의 활성화로 인해, LCD보다 응답속도가 1,000배가량 빠른 OLED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나 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고 있으며 현재 삼성SDI가 선두주자로 세계 AM OLED의 98%를 생산한답니다. 일본 기업인 소니가 11인치 OLED TV를 선보이며 타이완 기업들과 각축을 벌이고 있다고 합니다.-산여울-

참고2
display(exhibit)
어원dis(반대)+play(접다) → (접은 것을) 펴다
[상품·예술 작품 등을] 전시하다, 진열하다
1). display 대중 상대로 상품 등을 보기 좋게 늘어놓다. 2). exhibit 전람회 등 특별한 기회에 보기 좋은 위치에 놓다
[기를] 게양하다; [날개·돛·신문 등을] 펼치다, 펴다.

전자 제품에서는[장치]의 뜻: 브라운관에 도표 등을 비추기[비추는 장치].

유기발광디오드 보기 클릭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뜻한다.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특성 및 구현단계

기존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다. 또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앞으로 4단계를 거쳐 진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1]

1. 1단계는 떨어뜨려도 부서지지 않는 경박(輕薄)성으로 마음대로 다룰 수 있어 전자책이나 전자신문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1. 2단계에 이르면 곡면형성이 가능해지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의 응용 영역이 크게 확대된다.
1. 3단계는 굽혀도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탄력성을 가지며, 두루마리형태로 말 수 있고 전자 옷을 구현할 수 있다.
1. 4단계는 종이와 가까운 궁극의 이상적 단계로 종이처럼 접을 수도 있다.

예상 적용 분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휴대전화, PDA, MP3 플레이어 등에 우선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대면적화 기술이 확보되면 기존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TV 등의 모든 분야에 대체 적용이 가능해 IT산업 전반에 걸쳐 크게 확산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존의 유리기판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새로운 영역의 창출이 가능할 수 있다.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제품 분야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용분야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 질기고 구부림이 자유로워 여러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어 입고 다닐 수 있는 의류용 패션, 의료용 진단 분야에까지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현재의 기술수준으로는 당장 상용화가 어려운 상태이지만 앞으로 2~3년 정도 후에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동작속도의 개선을 통해 현재 정지화상의 표현수준에서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컬러 구현에 있어 기술발전이 더 진전 되어 야 할 것이다.


- 출처 : 위키백과 외 기타 - 


기타 참고 사항

Diode:유리 또는 금속으로 된 진공용기 속에 음극과 양극 두 전극이 들어 있는 전자관(電子管).

LED(발광다이오드)는 전류가 통과하면 빛을 방출하는 일종의 다이오드로서 대개 붉은 색이다.
LED는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좋은데, 그 이유는 비교적 작고 타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LCD:액정디스플레이이란?
액정표시장치, 액정디스플레이라고도 한다.
CRT와는 달리 자기발광성이 없어 후광이 필요하지만 동작 전압이 낮아서 소비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손목시계, 컴퓨터 등에 널리 쓰고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이다

LCD은 구조에 따라 수동형(passive-matrix)과 능동형(active-matrix)로 나눌 수 있다.
손목시계, 전자계산기처럼 간단하고 작은 장치에는 만들기 쉬운 수동형을 사용한다.
TN-LCD를 기반으로 STN(super-twisted nematic), DSTN(double-layer STN), CSTN(color-STN) 등이 있다.
하지만 수동형은 응답속도가 느리고 높은 해상도로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LCD TV, 모니터처럼 고해상도 장치에는 능동형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TFT(Thin-Film Transistor, 박막트랜지스터)가 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암정사  (0) 2013.11.22
연습  (0) 2013.08.05
멘토  (0) 2011.12.11